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희곡 중 함세덕의 희곡 동승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희곡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인간적 따뜻함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해석 해설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해석 해설입니다.
함세덕의 희곡, 동승
줄거리
깊은 산속의 고찰에서, 아직 수행을 쌓지 못한 열네 살의 사미 승 도념은 자신을 버리고 달아난 어머니를 안타깝게 기다리고 있다. 그의 친모는 여승이었으나 사냥꾼을 만나 파계를 하고 절을 떠났다. 주지승은 친모의 행적을 들어 도념으로 하여금 어머니를 기다리는 것을 포기하도록 하지만, 어린 도념으로서는 모자의 정을 그렇게 쉽게 끊을 수 없다. 그러던 차에 서울에서 내려온 아름다운 미망인에게 마음이 끌리고, 아들을 잃은 슬픔을 견디지 못하던 미망인 또한 도념을 양자로 삼고 싶어 한다. 그러나 도념을 타락한 속세로 보내지 않으려는 주지승의 완강한 반대에 부딪혀 서울행이 좌절되자, 도념은 결국 혼자 절을 떠난다.
핵심 정리
장르: 창작 희곡, 단막극
배경: 시간: 초겨울, 공간: 깊은 산 어느 절
주제: 자유와 꿈, 그리고 모정과 같은 인간적 따뜻함에 대한 추구
특징:
심리 묘사에 치중
숙명과 그것을 깨뜨리려는 의지의 대립을 잘 표현
구성
발단: 부모가 절에 남겨두고 떠나버린 동승 도념에 대한 소개
전개: 미망인이 도념을 동정하여 양자로 삼으려 함
정점: 도념의 입양 문제에 관한 미망인과 스님의 갈등
하강: 짐승을 살생한 도념의 비밀이 폭로되어 입양이 좌절됨
결말: 어머니를 찾아 무작정 절을 떠나는 도념
등장인물
도념: 초부의 도움을 받아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소년
미망인: 도념을 데리고 가고 싶지만, 친정 어머니와 대립하다 스님의 말을 듣고 마음을 돌림
친정 어머니: 도념이 부모의 죄를 받고 태어났다는 점, 잘못된 행동을 했다는 점을 들어 데려가는 것을 반대함
인수: 자신의 아버지인 초부가 스님에게 꾸중을 듣자 스님에게 사실을 말하고자 하고, 이를 실행함
초부: 도념을 지속적으로 지켜보며 동정하는 따뜻한 인간애를 보여줌
이해와 감상
이 작품에는 도념의 어머니를 향한 간절한 기다림, 그에 따른 절망과 좌절이 간결하고 긴밀하게 구성된 극적 구조 속에 담겨 있다. 도념과 미망인은 서로의 마음의 상처를 감쌀 수 있는 상대를 찾는다. 미망인은 잃어버린 아들의 모습을 도념에게서 찾고, 도념은 미망인을 통해 어머니의 사랑을 느낀다. 어머니에게 선물할 털목도리를 만들기 위해 토끼를 잡아 불상에 걸어놓고 바라보는 것은 절의 계율을 어긴 일이지만,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이 극한적으로 표현되어 도념에 대한 연민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어린아이에게 불도를 강요하는 주지 스님의 모습에서도 아버지와 같은, 엄격함과 따뜻함을 가진 인간의 한 측면을 볼 수 있다. 나무꾼인 초부는 중요한 인물은 아니지만, 어린 도념을 지속적으로 지켜보며 동정하는 따뜻한 인간애를 보여준다.
추가 설명
이 작품은 어머니를 향한 도념의 그리움이라는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보다 심오한 불교적 사랑을 추구하고 있다. 도념의 어머니를 향한 갈망은 깨달음을 향한 열망으로 승화되고, 절을 떠나는 그의 모습은 인간의 삶의 무상함을 상징한다.
더 알아보기
어버이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잘 나타낸 시조
"뫼는 길고 길고 물은 멀고멀고 / 어버이 그린 뜻은 많고많고 하고하고 / 어디서 외기러기는 울고울고 가느니" - 윤선도
출제 기록
2019년 ebs 수능 특강
2018년 ebs 수능 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