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희곡 중 함세덕의 희곡 동승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희곡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인간적 따뜻함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해석 해설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해석 해설입니다.
함세덕 희곡, 동승
줄거리
산골짜기 깊숙한 절에서 아직 수행을 시작하지 않은 14세 사미 도념은 어머니를 간절히 기다린다. 그의 어머니는 여승이었지만 사냥꾼을 만나 파계하고 절을 떠났다. 주지스님은 도념에게 어머니를 기다리는 걸 그만두라고 하지만, 그는 어머니에 대한 정을 쉽게 끊을 수 없다. 이때 서울에서 내려온 미망인이 도념에게 마음을 끌리고 그를 양아들로 삼으려 한다. 그러나 주지스님의 반대로 서울행은 무산되고, 도념은 결국 홀로 절을 떠난다.
핵심 요약
장르: 창작 희곡, 단막극
배경: 시간 - 초겨울, 공간 - 산속 절
주제: 자유와 꿈, 모정과 인간적 따뜻함 추구
특징: 심리 묘사 중시, 숙명과 의지 대립 표현
구성
발단: 어머니에게 버려진 도념 소개
전개: 미망인의 양자 제안
정점: 도념 입양 문제를 둘러싼 미망인과 스님 갈등
하강: 도념의 비밀 폭로로 입양 무산
결말: 어머니를 찾아 절 떠나는 도념
등장인물
도념: 따뜻한 마음으로 도념을 도와주고자 함
미망인: 도념을 양자로 삼고자 하지만, 주지의 말에 마음을 바꿈
친정 어머니: 도념이 부모 죄업으로 태어났다며 양자를 반대
인수: 주지의 강한 태도에 주지에게 사실을 알려 폭로
이해 및 감상
이 작품에서는 도념의 어머니에 대한 간절한 기다림과 좌절이 극적으로 묘사된다. 도념과 미망인은 서로에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줄 위안이 된다. 미망인은 잃은 아들의 모습을 도념에게서 찾고, 도념은 미망인을 통해 어머니의 사랑을 느낀다. 계율을 어긴 도념의 토끼 살해 장면은 어머니에 대한 갈망을 극적으로 표현한다.
주지스님은 불도를 엄격히 따르게 하지만, 아버지 같은 따뜻함도 보인다. 초부는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않지만, 어린 도념에게 지속적인 동정과 관심을 보인다.
이 작품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통속적인 주제를 다루지만, 그 안에 깊은 불교적 사랑을 담고 있다.
추가 설명
도념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시조: "뫼는 길고 길고 물은 멀고멀고..." (윤선도)
출제 기록: 2019년 ebs 수능 특강, 2018년 ebs 수능 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