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희곡 중 함세덕의 희곡 동승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희곡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인간적 따뜻함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해석 해설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해석 해설입니다.
함세덕의 희곡 "동승"
줄거리
깊은 산속에 위치한 고찰에서 수행을 아직 시작하지 않은 14세의 사미 도념은 어머니를 찾아 그리워하고 있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여승이었지만 사냥꾼을 만나 파계하고 절을 떠났습니다. 주지 스님은 어머니의 행적을 들어 도념에게 어머니를 기다리는 것을 포기하라고 하지만 도념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쉽게 끊을 수 없습니다.
그러던 중 서울에서 내려온 아름다운 미망인이 도념에게 마음이 끌립니다. 아들을 잃은 슬픔을 견디지 못하는 미망인 역시 도념을 양아들로 삼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도념을 타락한 속세로 보내지 않으려는 주지 스님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서울행이 좌절되자 도념은 결국 홀로 절을 떠납니다.
핵심 요약
장르: 창작 희곡, 단막극
배경: 시간: 초겨울, 장소: 산속의 깊은 절
주제: 자유와 꿈, 모정과 같은 인간적 온기 추구
특징:
심리적 묘사에 중점
운명과 그것을 깨뜨리려는 의지의 대비를 잘 표현
구성
발단: 부모에게 절에 남겨져 떠난 사미 도념 소개
전개: 미망인이 도념을 동정하여 양자로 삼으려 함
정점: 도념의 입양 문제를 놓고 미망인과 스님의 갈등
하강: 도념이 동물을 살생한 비밀 폭로, 입양 좌절
결말: 어머니를 찾아 홀로 절 떠나는 도념
등장 인물
초부: 도념을 도와주는 따뜻한 마음씨
미망인: 도념을 데리고 가고 싶지만 주지의 말에 뜻을 굽힘
친정 어머니: 도념이 부모의 죄를 받고 태어났다며 입양에 반대
인수: 초부의 아들, 주지가 자신을 꾸짖는 것을 보고 주지에게 사실을 말함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도념의 어머니를 향한 간절한 기다림과 절망, 좌절이 매우 간결하고 긴밀한 극적 구조 속에 용해되어 있습니다. 도념과 미망인은 서로의 상처를 달래 줄 수 있는 존재를 찾습니다. 미망인은 잃어버린 아들의 모습을 도념에게서 찾고, 도념은 미망인을 통해 경험하지 못한 어머니의 사랑을 느낍니다. 어머니에게 선물할 털목도리를 만들기 위해 토끼를 잡아 불상에 걸어놓고 바라보는 것은 절의 계율을 어긴 일이긴 하지만,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극단적으로 표현한 것이어서 도념에게 연민을 느끼게 합니다.
불도에 정진하도록 어린아이에게 강요하는 주지 스님의 모습에도 아버지와 같은 엄격함과 따뜻함이 공존합니다. 나무꾼 초부는 주요 등장인물이 아닌 듯 보이지만, 어린 도념을 지속적으로 지켜보며 동정하는 따뜻한 인간애를 보여줍니다.
추가
이 작품은 표면적으로는 떠나간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통속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불교적 사랑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어버이를 그리워하는 마음(도념의 마음)을 잘 나타내는 시조
> 뫼는 길고 길고 물은 멀고멀고
> 어버이 그린 뜻은 많고많고 하고하고
> 어디서 외기러기는 울고울고 가느니 (윤선도의 시조)
출제 목록
2019년 ebs 수능 특강
2018년 ebs 수능 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