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희곡 중 함세덕의 희곡 동승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희곡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인간적 따뜻함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해석 해설
함세덕의 희곡 동승 해석 해설입니다.
함세덕의 희곡, 동승
줄거리
깊은 산속의 오래된 사찰에서 수행을 쌓지 않은 열네 살 사미승 도념은 자기를 버리고 떠난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살고 있다. 그의 어머니는 원래 여승이었으나 사냥꾼을 만나 파계하고 절을 떠났다. 주지 스님은 도념의 어머니 행적을 들어 어머니를 기다리는 것을 포기하라고 했지만 도념은 어머니를 잊을 수 없다. 그러던 중 서울에서 온 아름다운 미망인을 만나 도념에게 마음이 끌리게 되었고, 아들을 잃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는 미망인도 도념을 양아들로 삼고 싶어한다. 그러나 주지 스님이 도념을 타락한 세속에 내보내는 것을 극구 반대하자 도념은 결국 홀로 절을 떠나게 된다.
핵심 정리
장르: 창작 희곡, 단막극
배경: 시간- 겨울, 공간- 깊은 산의 사찰
주제: 자유와 꿈, 모정과 같은 인간적 따뜻함 추구
특징
심리 묘사 중심
숙명과 그것을 깨뜨리려는 의지 대립
구성
서막: 부모가 절에 남겨두고 떠난 도념 소개
전개: 미망인이 도념을 양자로 삼으려 함
정점: 도념 입양 문제를 놓고 미망인과 스님의 갈등
하강: 도념이 짐승을 죽인 비밀 폭로, 입양 무산
종막: 어머니를 찾아 절을 떠나는 도념
등장인물
도념: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순수한 마음
미망인: 도념에게 어머니의 사랑을 느끼고 양자로 삼으려 함
주지 스님: 도념이 불도에 정진하도록 강요하는 엄격한 스님
친정 어머니: 도념이 부모 죄업을 받아 태어난 것, 잘못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도념을 거부
인수: 주지 스님에게 사실을 이야기하는 초부의 아들
이해 및 감상
함세덕의 희곡 <동승>은 도념의 어머니를 향한 간절한 기다림, 그에 따른 절망과 좌절이 간결하고 긴밀한 극적 구조 속에 담겨 있다. 도념과 미망인은 서로 마음의 상처를 채워줄 수 있는 존재를 찾는다. 미망인은 잃어버린 아들의 모습을 도념에게서 찾고, 도념은 미망인에게서 경험하지 못한 어머니의 사랑을 느낀다. 어머니에게 선물할 털목도리를 만들기 위해 토끼를 잡아 불상에 걸어놓고 바라보는 것은 절의 계율을 어긴 일이지만,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이 극에 달한 표현으로 도념에 대한 연민을 불러일으킨다.
어린 도념에게 불도에 정진하라고 강요하는 주지 스님의 모습에서도 아버지와 같은 엄격하면서도 따뜻한 인간성을 볼 수 있다. 나무꾼 초부는 중요한 등장인물은 아니지만, 어린 도념을 지속적으로 지켜보며 동정하는 따뜻한 인간애를 보여준다. 또한 이 작품은 표면적으로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라는 통속적인 소재를 다루면서도 내면적으로는 더욱 심오한 불교적 사랑을 추구하고 있다.
추가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잘 나타내는 시조
> 뫼는 길고 길고 물은 멀고멀고
> 어버이 그린 뜻은 많고많고 하고하고
> 어디서 외기러기는 울고울고 가느니
> - 윤선도 시조
출제 목록
2019년 ebs 수능 특강
2018년 ebs 수능 완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