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용악의 시 북쪽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4. 4.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이용악의 시 북쪽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0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용악의 시 북쪽

이용악의 시 북쪽

 

 

이용악의 시 북쪽 해석 해설

이용악의 시 북쪽 해석 해설입니다. 

 

이용악의 시, 북쪽

북쪽은 고향
그 북쪽은 여인이 팔려간 나라
머언 산맥에 바람이 얼어붙을 때
다시 풀릴 때
시름 많은 북쪽 하늘에
마음은 눈감을 줄 모르네

이해와 감상

이용악은 일제 강점기 당시 발생한 국내외 이주민의 비극적인 삶을 깊이 있게 파악하고, 이를 뛰어난 시적 감수성과 강인한 서정성을 바탕으로 작품에 구현한 시인입니다. 반공 이념으로 인해 40년이 넘게 논의조차 금지당했던 그는 월북 작가들에 대한 해금 조치 이후에야 비로소 30, 40년대 우리 시문학사에 빈약한 공간 속에서 당당히 자리 잡은 위대한 민족 시인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이 시는 고향 상실감에 대한 독특한 시적 감정이 돋보입니다. 패배주의와 절망의 모습만이 두드러지는 박용철의 고향(1931)과도 다르고, 개인적인 회고적 서정에 머물렀던 정지용의 고향(1932)과도 구별되는 독특한 시적 정조가 불과 6행 사이에 명확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따라서 그의 고향은 단순한 향수의 대상이 아니라 현실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줍니다. 즉, 고통에 찬 현실적 삶과 역사의 시적 대응물로 대체된 고향입니다.

이 시는 화자의 내면 감정을 드러내는 독백의 성격을 갖습니다. 화자는 지금 자신이 위치한 북쪽 고향을 바라보며 서러에 잠겨 있습니다. 시름에 젖은 화자의 내면은 마지막 구절인 시름 많은 북쪽 하늘에 / 마음은 눈감을 줄 모르네에 명쾌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머언 산맥에 바람이 얼어붙을 때 / 다시 풀릴 때라는 묘사적 표현은 화자의 고향 북쪽에 있는 예사롭지 않은 상황을 암시하는 동시에 화자의 걱정스러운 마음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북쪽을 향한 화자의 시름에 찬 내면을 서정적으로 묘사하면서 그 북쪽은 여인이 팔려간 나라라는 객관적인 서술이 2행에 삽입되어 있습니다. 이 구절은 북쪽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화자가 시름을 겪게 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구체적인 사건을 제시할 경우 화자의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서술로 표현하면 보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게 됩니다. 물론 그 구체적인 사건은 바로 당대의 사회적․역사적 상황, 즉 일제 식민지 시대에 우리 민중들이 겪은 고통과 수탈의 비극적인 상황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것입니다. 이처럼 이 시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주관적인 표출과 함께 그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비극적인 상황을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표현 기법을 조합하여 개인의 주관적 서정을 보편성과 객관성을 지닌 사회적 차원의 감정으로 확산시켜 나가는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 이해와 감상]>

더 자세히 알아보기
출제 목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