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조국광복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해석 해설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해석 해설입니다.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 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같은 논길을 따라 꿈 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답워라, 말을 해다오.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한자욱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 아가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같은 머리털을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혼자라도 가쁘게 나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 바른 이가 지심 매던 그 들이라도 보고 싶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다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리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셈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웃어웁다, 답을 하려무나.
나는 온 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명이 지폈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해석
지금은 우리의 것이 아닌 땅에서도 봄이 찾아오는 걸까?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으며,
푸른 하늘과 푸른 들이 마주한 곳으로,
논둑길을 따라 꿈속을 걷는 것처럼 걸어간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하늘과 들이여,
내 마음속에는 혼자 온 것 같지 않구나!
네가 나를 이끌었는지, 누가 불렀는지, 너무도 궁금해. 말해줘.
바람이 내게 속삭이네,
한 걸음도 서지 말라고, 내 옷자락을 흔들며.
구름 뒤에서 종다리가 울타리 너머로 여자처럼 반갑게 웃고 있구나.
고맙게도 잘 자란 보리밭아,
어젯밤 자정이 넘어 내린 달콤한 비로,
네 머리카락이 삼단 같은 파도처럼 곱게 졌구나. 나의 머리도 가벼워졌다.
혼자라도 빨리 나가자.
마른 논을 안고 돌아다니는 مهربان 스러운 도랑이,
젖먹이를 달래는 노래를 부르며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고 있구나.
나비, 제비야, 서두르지 마라.
민들레, 들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 기름을 바른 사람들이 김을 매던 그 들이라도 보고 싶다.
내 손에 괭이를 쥐어다오.
젖가슴처럼 부드러운 살찐 이 땅을,
발목이 아플 정도로 밟아보고, 땀까지 흘려주고 싶다.
강가에 나온 아이처럼,
숫자도 모르고 끝없이 헤매는 나의 영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참 웃기구나. 대답해 볼까?
나는 온 몸에 봄내음을 붇고,
푸른 웃음과 푸른 슬픔이 뒤섞인 속에서,
다리를 절며 하루 종일을 걷는다. 봄의 신령이 내게 힘을 주었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서 봄마저도 빼앗길까봐 걱정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