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0 중 언어유희에 대해서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0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0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언어유희에 대해서
언어유희에 대해서 해석 해설
언어유희에 대해서 해석 해설입니다.
언어 유희
언어 유희란 말이나 글자를 재치 있게 사용하여 이중적인 의미를 내는 문학적 기법이다. 말이나 글자의 음이나 뜻을 이용하여 재담을 만들거나 웃음을 유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 유희의 종류
새 말 만들기: 영어와 한국어를 합치거나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
어려운 말 외우기: 발음이 어려운 말을 빠르게 발음하는 것
말꼬리 잡기: 말의 끝자를 다음 말의 첫자로 이어가는 것
동음이의어 만들기: 같은 발음이지만 다른 뜻을 가진 단어를 사용하는 것
해자, 파자 놀이: 한자의 구성요소를 다른 한자로 바꿔서 새로운 뜻을 만드는 것
차자 놀이: 한자 대신 비슷한 발음의 한글을 사용하는 것
언어 유희의 예시
일상적인 예
고고한 기생은 먼저 (놀고 가라고) 말을 하지 않는다.
"대학에 합격하는 꿈"을 다섯 자로 줄이면? 재수(再修)없는 꿈
시조
임제의 시조
북창이 맑다거늘 우장 없이 길을 가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비로다.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잘가 하노라.
. 찬비: 한우(寒雨)라는 기생을 의미
. 얼어 잘가: 한우(기생)와의 동침
황진이의 시조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하면 돌아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동음 이의어에 대한 언어 유희로 벽계수는 푸른 시냇물이란 뜻이자 당시 종실의 한 사람의 이름이고, 명월은 밝은 달이자 황진이의 기명이다.
이정신의 시조
매아미 맵다 울고 쓰르라미 쓰다 우네
산채를 맵다는가 박주를 쓰다는가
우리는 초야에 묻혔으니 맵고 쓴 줄 몰라라
고전소설
<춘향가, 춘향전>
어사또 부채 꼭지로 운봉 옆구리를 콕 찌르며, "여보 운봉 영감 ! 거 갈비 한 대 주." 운봉이 깜짝 놀래며, "허어, 그 분이 갈비를 달래면 익은 소갈비를 달래지, 사람의 생 갈비를 달랜다 말이오?"
갈비: 먹는 갈비, 신체의 일부인 갈비
각 읍 수령 모여들제울고 나니 곡성(谷城) 원님, 운수 좋다 강진 원님......
곡성(谷城): 울고 나니라는 뜻의 곡성(哭聲)과 지명 이름 곡성(谷城)을 연결(동음이의어)
춘향이 내달아,
"여보 도련님. 이제 가시면 언제나 오시려오. 사철 소식 끊어질 절(絶), 보내느니 아주 영절(永絶), 녹죽(綠竹) 창송(蒼松), 백이.숙제 만고충절(萬古忠節), 천산(천산)에 조비절(鳥飛絶), 와병(臥病)에 인사절(人事絶), 죽절(竹節), 송절(松節), 춘하추동(春夏秋冬) 사시절(四時節), 끊어져 단절(斷絶), 분절(分節), 훼절(毁節), 도련님은 날 버리고 박절(迫切)히 가시니 속절없는 이 내 정절(貞節) 독수공방(獨宿空房) 수절(守節)할 때 어느 때나 파절(破節)할꼬. 첩의 원정(寃情) 슬픈 곡절(曲折) 주야(晝夜) 생각 미절(未節)할 제, 부디 소식 돈절(頓絶)마오."
<열녀춘향수절가>
"너의 서방인지 남방인지 걸인 하나 내려 왔다." (西方) 허허 이게 웬 말인가. 서방님이 오시다니?" (낭군)
"열녀가 이부를 섬기다니."
"이부(二夫)가 아니라 외얏 리자 쓰는 이부(李夫)를 말씀이오."
<심청가>
"영감아, 지난 달부터 밥 구미는 뚝 떨어지고 신 것만 구미가 당기니 어째서 그런가 모르겄오." "파아하하 거 그러면 태기가 있을란가 부네. 어쩌튼 하나만 낳아라. 그런디 신 것이 구미가 당기면 무엇을 먹는가?" "아 살구 먹었지요." "살구는 얼마나 먹었는고?" "아 씨 되어 보니 닷말 섯 되입니다." "거 신 것을 그리 많이 먹어. 그 놈은 낳드라도 안 시건방질까 몰라. 이것 농담이요." 시다 시건방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