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동엽의 시 향아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3. 6. 1.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신동엽의 시 향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공동체적 삶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신동엽의 시 향아

신동엽의 시 향아

 

 

신동엽의 시 향아 해석 해설

신동엽의 시 향아 해석 해설입니다.

신동엽의 시, 향아

신동엽의 시, 향아

향(香)아 너의 고운 얼굴 조석으로 우물가에 비최이던 오래지 않은 옛날로 가자



*회올리는 : 타래처럼 꼬여서 올라가게 하는.
*콩바심 : 거둬들인 콩을 두드려 콩알을 털어 내는 일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시적 화자 : 향(香)에게 말을 건네고 있는 나(작품 표면에 드러나 있음우리)
▶시적 상황 : 향에게 말을 건네며 밝고 건강한 과거 공동체 시절로 회귀를 소망함
▶시적 화자의 정서 또는 태도 :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과거에 대한 간절한 소망(과거 지향적 태도)
▶주제 : 소박하고 건강한 공동체적 삶의 회복에 대한 소망
▶특징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통한 주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청유형의 진술을 반복하여 화자의 내면적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청자를 호명하여 과거의 경험을 상기시키고 있다.(향아와 같이 청자를 호명하여 청자와 화자가 공유한 순수했던 과거의 모습을 상기시키고 있다.)
청유형의 문장을 사용하여 화자의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돌아가자, 고만 내자와 같이 청유형의 문장 표현을 사용하여 오래지 않은 옛날의 순수했던 삶으로 돌아가고 싶은 화자의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청각적 심상을 활용하여 대상을 생생하게 그려 내고 있다.(수수럭거리는과 걸쭉스런 웃음들에서 청각적 심상을 사용하여 대상들을 생생하게 그려 내고 있다.)
특정한 시구를 반복하여 대상이 지닌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3연과 5연에서 전설 같은 풍속으로 돌아가자라는 시구를 반복하여 과거의 삶이 지닌 순수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현대 물질문명으로 인해 황폐해진 인간성을 회복하기 위해 과거의 순수했던 세계로 돌아가고 싶다는 의지를 드러낸 시이다. 화자는 아직 물질문명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대상인 향에게 아름다운 옛날로 돌아가자고 청유형 어조로 설득함으로써, 순수한 세계에서 살고 싶다는 자신의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화자가 향과 함께 돌아가려는 곳은 무지개빛 허울의 눈부심과 기생충의 생리와 허식이 없는 순수한 세계로, 옛날, 정자나무 마을, 우리들의 고향, 싱싱한 마음밭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결국 시인은 이 시를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소박하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원시적인 공동체적 삶에 대한 동경과 문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22년 ebs수능특강
2019년 ebs수능특강
2015년 ebs수능특강
2011년 ebs수능완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