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박봉우의 시 휴전선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분단의 아픔 극복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박봉우의 시 휴전선
박봉우의 시 휴전선 해석 해설
박봉우의 시 휴전선 해석 해설입니다.
휴전선
산과 산이 마주 서 있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서 있습니다. 항상 어둠 속에서 한 번은 천둥 같은 화산이 터질 것을 알면서도 이런 자세로 꽃이 되어 있어야 합니까?
산과 산이 마주 보고 서 있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보고 서 있습니다. 항상 어둠 속에서 산과 산이 마주 보고 서 있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보고 서 있습니다.
산과 산이 마주 보고 서 있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보고 서 있습니다. 항상 어둠 속에서 한 번은 천둥 같은 화산이 터질 것을 알면서도 이런 자세로 꽃이 되어 있어야 합니까?
바람이 불어오면 꽃은 흔들리고, 유혈은 흐르고, 정맥은 끊어집니다. 겨우살이 같은 전쟁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아무리 그럴듯한 미사여구로 장식된 전쟁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결국 죄없는 백성들의 목숨을 담보로 한 정치 지도자들의 허황된 정치 논리라는 것을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더 이상 독사의 혀 같은 징그러운 전쟁이 일어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모진 겨우살이와 같았던 6.25의 비극적 체험을 겪은 사람은 아무런 죄도 없이 피어난 꽃이 바람에 쓰러지는 것 같은 전쟁이 더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고 외칩니다. 아름다운 길은 이뿐입니까?
분단은 나무 하나 안심하고 서 있지 못할 광장이며, 정맥이 끊어진 신체와 동일한 것입니다. 분단 상황이 계속되면 될수록 민족사는 더욱 야위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만주를 호령했던 고구려 같은 정신이나 삼국을 통일한 신라 같은 이야기가 더 이상 존재할 수 없는 오늘날의 민족 상황을 비판하는 한편, 지금은 비록 남과 북이 허울 좋은 이데올로기로 분단되어 있더라도 별들이 차지한 하늘은 끝끝내 하나라며 통일의 당위성을 역설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 무엇에 불안한 얼굴이냐며 하루빨리 전쟁의 위협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민족의 큰 소망으로 발전합니다.
산과 산이 마주 보고 서 있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보고 서 있습니다. 항상 어둠 속에서 한 번은 천둥 같은 화산이 터질 것을 알면서도 이런 자세로 꽃이 되어 있어야 합니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