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4. 7.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깨끗한 세상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해석 해설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해석 해설입니다. 

 

청산도(靑山道)

산아, 우뚝 솟은 푸른 산아.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아.

산의 가슴에 짙푸른 숲이 울창하고, 황금빛 햇살이 내려온다.

사슴도 안 오고 바람도 안 불고, 너멋 골짜기서 울어오는 뻐꾸기 소리만이 들린다.

아득히 가버린 것 잊어버린 하늘아, 아른아른 오지 않는 보고 싶은 하늘아.

어쩌면 만나도질 볼이 고운 사람이, 난 혼자 그리워라. 가슴으로 그리워라. 줄줄줄.

티끌 부는 세상에도, 벌레 같은 세상에도 달 가고, 밤 가고, 눈물도 가고, 틔어 올 밝은 하늘 빛난 아침이 온다.

그때 향기로운 이슬밭 푸른 언덕을, 총총총 달려도 와 줄 것이라.

눈에 어려 흘러가는 물결 같은 사람 속, 아우성쳐 흘러가는 물결 같은 사람 속에서 혼자서 철도 없이 너만 그리겠다.



핵심 정리

▶ 장르: 산문시, 서정시

▶ 성격: 산문적, 서정적, 미래 지향적

▶ 특징:

① 영탄법과 반복법을 통한 주제 강조

② 유장하고 운치 있는 리듬

③ 자연의 생성과 소멸 원리를 인간사의 원리로 전이

④ 가쁜 호흡과 어구 반복을 통한 절절한 심정 표현

▶ 주제: 청산과 같은 깨끗한 세상에 대한 소망과 그리움 (기독교 세계관)

※ 청산: 우리가 살아야 할 참된 세상의 모습을 보여줌.



연구 문제

1. (가) 면앙정가, (나) 청산도 지문 제시

(가)와 (나)의 시적 대상으로서 산과 서정적 자아의 관계가 각각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가를 설명하라. (150자 내외, 배점 10점)



이해와 감상

이 시는 행 구분이 없고 연 구분만 있는 4연으로 구성된 산문시다. 의성어와 의태어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어구를 반복함으로써 유장하면서도 운치 있는 산문 율조를 형성한다. 이 율조 속에는 자연의 생명력을 상징하는 시어와 비관적인 현실 인식을 드러내는 부정적인 시어가 대조적으로 나타난다.

1연에서는 청산의 생명력을 보여준다. 우뚝 솟은 푸른 산, 철철철 흐르듯 짙푸른 산, 무성한 숲, 내려오는 햇살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청산은 풍요롭고 아름다운 생명력의 상징으로 그려진다. 자연은 소멸과 생성의 주기적 순환을 통해 영원한 생명력을 지닌다.

2연에서는 비관적인 현실 인식이 심화된다. 사슴도 바람도 오지 않는 너멋 골짜기, 잊어버린 하늘, 보고 싶은 하늘, 만나지 못할 볼이 고운 사람 등을 통해 채워지지 않는 그리움이 드러난다.

3연에서는 청산에서 얻은 소멸과 생성의 원리를 인간사의 원리로 승화하여 비관적인 현실을 극복하려는 미래 지향적 태도가 나타난다.

4연에서는 청산에 대한 동경심을 잃지 않겠다는 의지가 표현된다. 물결처럼 흐르는 사람들 속에서도 혼자서 청산을 그리겠다는 확고한 결의를 보여준다.



더 알아보기

 청산도의 화자: 청자의 구조

 이상향을 다룬 작품

 비교: 박두진의 <해>, <향현>, <청산도>에서의 산



출제 목록

 2016년 11월

 2006 대수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