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4. 7.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깨끗한 세상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해석 해설

박두진의 시 청산도 수능 출제 해석 해설입니다. 

 

청산도

푸른 산, 울창한 산, 철 흐르듯이 짙푸른 산.

하늘도 안 보이고 바람도 안 부는 너머의 골짜기에서 울어대는 뻐꾸기 소리. 만나기 어려울지도 모르는 아름다운 사람, 그리운 마음만 가득 차오른다.

먼 옛날 사라진 하늘, 보고 싶어도 보이지 않는 하늘. 하늘처럼 그리운 사람이 세상 어디엔가 있을까? 가슴 아픈 그리움에 나는 혼자 울고 만다.

먼지가 자욱한 세상, 벌레 같이 지저분한 세상. 해가 지고 밤이 지나 눈물도 마르고 아름다운 아침이 찾아올 것이다.

눈물처럼 흐르는 사람들 속에서, 함성처럼 떠도는 군중 속에서 나는 혼자 널 그리워하겠다. 너를 향한 그리움은 영원히 잊지 않겠다.

해석

이 시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푸른 산은 자연의 생명력과 영원함을 상징하며, 그리움은 인간이 잃어버린 이상향에 대한 간절한 갈망을 나타냅니다.

시인은 산의 아름다움에 매료되지만, 현실 세계의 어둠과 절망도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시인은 희망을 잃지 않고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보여줍니다.

시의 마지막 연에서는 시인이 그리움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고 맹세합니다. 이는 시인이 인간의 이상과 포부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주제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그리움
 현실 세계의 어둠과 절망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
 인간의 이상과 포부

특징

 상징주의: 산은 자연의 생명력과 영원함을 상징하고, 그리움은 인간의 이상향에 대한 갈망을 상징합니다.
 대조: 산의 아름다움과 현실 세계의 어둠, 시인의 그리움과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대조됩니다.
 반복: "안"과 "가다"라는 단어가 반복되어 시의 어두운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운율: 시는 자유로운 운율로 쓰여졌지만, 일부 연에서는 내부 운율과 반복이 사용되었습니다.

작성자

박두진(1949년생)은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소설가입니다. 그는 현대 한국 문학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자연과 인간의 관계, 역사적 경험, 정치적 억압에 대한 탐구를 주제로 한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