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박두진의 시 어서 너는 오너라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조국광복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박두진의 시 어서 너는 오너라
박두진의 시 어서 너는 오너라 해석 해설
박두진의 시 어서 너는 오너라 해석 해설입니다.
나를 향한 두 가지 신념 시, 나는 신앙의 기사다
박두진의 시, 어서 너는 오너라
복사꽃이 피었다고 일러라. 살구꽃도 피었다고 일러라.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하략합니다>
핵심 정리
- 갈래: 산문시, 서정시
- 성격: 미래지향적, 예언적, 열정적
- 어조: 낭만적이고 격정적인 어조
- 특징:
- 감각적이고 비유적인 심상을 사용
- 행의 구분이 없는 산문적 구성
- 어구의 반복을 통해 간절한 염원 표현
- 조국을 의미하는 다양한 상징어 사용
- 의성어(어어이, 늴늴늴) 및 의태어(두둥실)를 사용하며 격정적, 낭만적 분위기 조성
- 구성:
- ① 조국 광복 상황 제시(1연)
- ② 헤어진 동포의 귀환 갈망(2, 3연)
- ③ 동포의 귀향에 대한 환호(4, 5연)
- ④ 민족공동체적 삶 재현 열망(6연)
- 제재: 복사꽃(한국적 이상향)
- 주제: 조국 광복에 대한 열망
1. 이 시의복사꽃이 핀 마을이 상징하는 의미를 두 문장으로 쓰라.
일제로부터 광복된 조국을 의미하며, 공동체 생활이 가능한 공간이기도 하다. 복사꽃 핀 마을은 무릉도원, 즉 이상향을 의미한다.
2. 이 시에서 너는 누구를 가리키는가? 80자 내외로 쓰라.
직접적으로는 철이를 가리키나, 나아가서는 유랑하던 우리 민족 전체를 의미하며, 궁극적으로는 참된 해방을 맞는 우리 민족을 상징한다.
3. 이 시에서 리듬감을 살리기 위해 사용한 수사법을 쓰라.
반복법
이해와 감상
이 시는 일제 패망 직전에 지어진 작품으로, 몰래 간직하다가 해방 후 발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시인과 작가가 일제에 굴복하여 친일 문학으로 전향하거나 붓을 꺾는 사이, 박두진은 오히려 조국 광복에 대한 확신에 찬 목소리로 민족 해방의 열망을 노래했다. 이러한 작품이 존재했기에 동시대의 친일 문학은 설 자리를 잃었고, 친일 문학을 비판할 근거도 마련됐다.
박두진의 다른 시들처럼 이 시도 산문시의 급박한 호흡을 사용해 광복의 기쁨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특히 쉼표를 자주 사용해 산문율조의 긴 호흡을 차단하고, 언어 반복의 리듬 감각을 통해 고양된 감정이나 상승의 분위기를 조성해 читателя의 정서를 환기시킨다. 박두진 초기 시가 대개 일제 치하의 민족적 비애나 절망을 다루지 않고, 오히려 광복을 기다리는 밝고 희망적인 태도를 기독교적 세계관에 입각해 노래하는 것과 달리, 이 작품은 구원의 세계, 곧 해방된 조국을 동양적 이상향인 무릉도원으로 표현해 관심을 끈다.
이 시의 주제적 핵심은 일제 치하에 다섯 뭍과 여섯 바다로 흩어졌던 우리 민족이 다시 조국에 모여 민족 공동체의 삶을 재현하자는 결의와 소망이다. 1연은 바로 그러한 재현의 터전이 되는 민족 해방 상황을 제시한다. 오랫동안 함부로 짓밟힌 조국 강토에 마침내 봄이 돌아와 복사꽃과 살구꽃이 아름답게 피고, 벌과 나비, 새들이 모여든다. 2, 3연은 철이라는 호칭으로 불린 흩어진 우리 민족을 조국 해방의 터전으로 불러들이는 내용이다. 4, 5연은 돌아온 동포와의 감격적인 재회를 상상으로 보여주며, 눈물과 피로 상징되는 슬픔과 고통의 시대를 지나 푸른 깃발, 비둘기, 꽃다발이 가득한 희망, 평화, 영광의 조국으로 그들이 빨리 돌아오기를 갈망한다. 마지막 6연은 그들과의 만남을 통해 민족 공동체가 함께 누릴 행복한 삶의 모습을 나타내며, 앞 부분은 1연에서 제시한 평화롭고 생동감 넘치는 상황을 반복해 보이고, 뒷 부분은 민족이 한데 모여 춤추는 환희의 모습을 격정적으로 노래한다.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 이해와 감상>
더 알아보기
- 신석정의 <꽃덤불>과 공통점: 희망적인 세계에 대한 열망을 강렬하게 제시
- 광복에 대한 염원 작품
출제목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