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수필 중 나도향의 수필 그믐달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수필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그믐달 이끌림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나도향의 수필 그믐달
나도향의 수필 그믐달 해석 해설
나도향의 수필 그믐달 해석 해설입니다.
나도향의 수필, 그믐달
조선문단
어휘 및 어구 해석
요염(妖艶):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큼 얼굴이 아름답다.
한등(寒燈): 처량하게 비추는 등불
독부(毒婦): 기질과 행동이 극도로 사악한 여자
풍상(風霜): 바람과 서리, 여기서는 세상의 온갖 어려움이나 고통을 의미함.
원부(怨婦): 원한을 품은 여자
청상(靑喪): 청상 과부
객창(客窓): 여창. 객지에서 지내는 방. 방랑자가 머무는 방.
보름달은 공주와 같은 달이다.: 보름달은 화려한 아름다움을 자랑하며 모든 이의 숭배를 받는 달이지만, 그믐달은 연약하고 애절한 느낌을 주는 달이다. 달을 여성으로 의인화하여 표현함.(직유법, 의인법, 대비법)
그는 고요한 꿈나라에서 평화롭게 잠든 청상과 같은 달이다.: 그믐달은 일찍 남편을 잃은 청상 과부와 같은 안타까움과 섬뜩한 저주를 느끼게 한다.
내 눈에 초생달 빛은 푸르게 보인다.: 내게 초생달은 따스한 느낌을 주고, 보름달은 완벽함을 느끼게 하는 반면, 그믐달은 단도와 같은 차가움과 냉정함을 느끼게 한다.
핵심 요약
▶장르: 경수필, 서정적 수필
▶특징: 낭만적, 감상적
▶제재: 그믐달
▶주제: 애절한 느낌을 주는 그믐달에 대한 매력
▶의의: 우아한 문장과 뛰어난 문장을 바탕으로 사물에 대한 애정을 잘 보여주는 나도향의 대표적 수필이다.
▶표현: ①대조적 표현을 통해 그믐달의 특성을 드러냄. ②달을 여인에 비유, 작가의 감정을 대입함.
▶독특한 점: ①그믐달에서 느끼는 애절함과 안타까움을 작가 특유의 참신하고 독특한 시각과 화려한 비유를 통해 선명하게 드러냄. ②우아한 문장과 뛰어난 수사를 바탕으로 사물에 대한 애정을 보여줌.
▶구성: 4단락 구성
이해와 감상
나도향은 낭만주의적 성향의 작가입니다. 그믐달의 슬픔에 매료되는 것 자체가 그의 낭만성을 단순히 드러내는 것입니다. 달을 통해 저자는 자신의 마음을 토로합니다. 사악한 초생달보다, 여왕스러운 보름달보다 추방된 공주 같은 그믐달을 더 사랑하는 그의 정서는 나도향 개인의 것만은 아닙니다. 슬픔과 애절함, 슬픔에 더 친숙함을 느끼는 것은 우리 민족 공동의 정서이자 한국 문학의 전통적인 정조이기도 합니다.
이 글의 발표 연대는 1925년입니다. 웃는 달이 아니라 우는 달을 더 사랑했던 나도향은 그 이듬해 폐병으로 요절합니다. 식민지 시대였기 때문일까요, 나도향이 활동했던 '백조' 동인은 환상으로 피신하는 것을 즐기고 극단적인 낭만주의를 추구한 모임이었습니다. 젊은 나도향의 가슴에 맺힌 슬픔과 아픔을 이 짧은 11개 문장으로 된 작품에서 우리는 충분히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첫 문장에 주제를 명확히 담고 대조와 유추를 통해 그 이유를 하나씩 설명하는 아름다운 문체는 정말 매력적입니다. 그가 보여주는 도약과 암시 또한 뛰어납니다. 논리적이지 않고 감정적으로 대상을 관찰하여 섬세하고 정교한 은유법 속에 담았으니 나도향의 언어적 감성이 빛나는 글입니다.
핵심 질문
1. 이 작가의 낭만성은 어디에서 비롯됩니까?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보지 않는 그믐달의 슬픔의 정조를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낭만주의자들의 공통적인 성향이었습니다.
2. 그믐달 외에 다른 달을 어떻게 비유하고 있습니까?
▶초생달은 사악한 여자이거나 철모르는 처녀이고, 보름달은 모든 영광과 끝없는 숭배를 받는 여왕인 반면, 그믐달은 원한을 품은 여자이자 추방된 공주, 우는 청상과 같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문학적 제재로서의 달의 이미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