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김춘수의 시 분수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영원한 그리움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춘수의 시 분수
김춘수의 시 분수 해석 해설
김춘수의 시 분수 해석 해설입니다.
김춘수의 시, 분수
김춘수의 시, 분수(噴水)<꽃의 소묘(素描)>(1959)
1
발돋움하는 발돋움하는 너의 자세는 왜
이렇게
두 쪽으로 갈라져서 떨어져야 하는가.
그리움으로 하여
왜 너는 이렇게
산산이 부서져서 흩어져야 하는가. / 이상을 추구하다 좌절하는 분수의 모습
2
모든 것을 바치고도
왜 나중에는
이 찢어지는 아픔만을
가져야 하는가.
네가 네 스스로에 보내는
이별의
이 안타까운 눈짓만을 가져야 하는가. / 이상의 좌절에서 오는 분수의 아픔
3
왜 너는
다른 것이 되어서는 안 되는가.
떨어져서 부서진 무수한 네가
왜 이런 선연(鮮然)한 무지개로
다시 솟아야만 하는가. / 좌절을 딛고 다시 일어서는 분수의 아름다움
시구 풀이
발돋움하는 발돋움하는 너의 자세: 지향하는 곳을 향해 더 높이, 더 가까이 도달하려 노력하는 의지와 자세를 의인화하여 표현하였다.
찢어지는 아픔: 자기 분열의 아픔으로, 분수가 솟아 올랐다가 두 쪽으로 갈라져 산산이 부서져 내리는 모습을 몸이 찢어지는 아픔으로 표현하고 있다.
네가 네 스스로에 보내는 눈짓을 가져야 하는가: 분수가 자신의 분신(焚身)인 물방울에게, 부서져 흩어지게(이별) 할 수밖에 없는 서글프고도 아픈 슬픔을 가져야만 하는가. 자기 분열의 아픔(찢어지는 아픔)의 다른 표현으로 결국, 자기 분열의 슬픔을 말한다.
왜 너는 되어서는 안 되는가: 왜 너는 그리움으로 하여 발돋움 발돋움하다 떨어져 산산이 부서져 흩어짐으로써 찢어지는 아픔만을 가져야 하는 분수 이외의 다른 것이 되어서는 안 되는가. 숙명에 대한 인식이 물음 속에 담겨져 있다.
선연(鮮然)한 무지개: 좌절을 딛고 다시 발돋움하는 삶의 눈물겨운 아름다운 모습의 형상화이다.
핵심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율격: 내재율
▶성격: 주지적. 관념적
▶심상: 시각적 심상
▶표현: 의인법. 점층적 전개. 의문문 형식.
구성: 단계적 점층
1. 분수의 모습(발돋움과 좌절)
2. 분수의 속성(아픔)
3. 분수의 숙명(숙명적인 그리움)
▶제재: 분수
▶주제: 끝없이 다시 발돋움하게 하는 영원한 그리움
이해와 감상
사람은 누구나 알 수 없는 그 무엇을 향한 그리움 때문에 그 곳에 도달하기 위한 안타까운 발돋움을 하지만, 마침내 처참한 좌절을 겪는다. 안타까운 그리움으로 말미암은 이 발돋움과 좌절의 원인을 추적해 나가고 있다. 1, 2, 3으로 나아가면서 이 물음은 심화되어 간다. 1의 경이와 충격의 물음이 2에선 항의를 담은 안타까운 물음으로, 3에선 마침내 숙명을 받아들이고 스스로 해답을 얻어 깨달음에 이르는 물음으로 발전한다. 그리하여 안타까운 발돋움과 좌절, 다시 시도하는 발돋움의 이 끝없는 눈물겨운 되풀이는 그리워하도록 숙명지어진 그 영원한 그리움으로 말미암은 것임을 깨닫는다. 좌절을 딛고 선연한 무지개로 다시 피어 오르게 하는 그리움이 우리 마음에도 옮아오는 듯하다.
이 시에는 세 가지 형식적 특징이 있다. 1, 2, 3으로 나뉘어 있고, 모든 연이 의문문으로 이루어졌으며, 시 전체가 순수한 이미지로만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다. 각 부는 2연씩으로 이루어져 다른 시의 한 연과 같은 구실을 하고, 각 부는 3단계로 발전하여 이 시를 완성한다. 3단계적 점층 구성을 이루고 있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21년 11월 1학년 전국연합
2007년 10월 3학년 전국연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