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채원의 소설 겨울의 환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3. 5.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현대소설 중  김채원의 소설 겨울의 환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소설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삶에 대한 인식, 열망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채원의 소설 겨울의 환

김채원의 소설 겨울의 환

 

 

 김채원의 소설 겨울의 환 해석 해설

 김채원의 소설 겨울의 환 해석 해설입니다.

김채원의 소설, 겨울의 환


김채원의 소설, 겨울의 환(幻)<1989>

줄거리
나이 들어 가는 여자의 떨림을 한번 써보라고 했던 그. 편지나 일기 외엔 글을 써보지 못했던, 감정의 훈련도 그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도 갖추지 못한 나. 나이 들어 가는 여자의 떨림이란 말에 매혹되었기에 마흔셋이 되도록 스스로를 여자로 느끼지 못했음을 깨닫는 나는, 늙어 가는 것이 단지 멸해 가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머니나 할머니, 증조할머니, 더 거슬러 올라가 선조의 여자들까지 면면히 흐르는 여자로서의 숙명처럼 그와의 만남도 운명이었다. 
친척 아저씨와 할머니 묘소에 갔다가 산불을 내고 그 뉴스를 집안에 앉아 텔레비전을 통해 보는 나. 아저씨는 경찰에 자진 출두하고 나는 어머니 때문에 남아 망자들의 묘를 모조리 휩싸고 있는 불길과 그 불길이 다 녹여 줄 것만 같은 망자들의 응어리를 생각하며 글을 끝까지 써낼 듯한 기운을 느낀다.
따뜻한 밥상을 차리지 못하는 여인인 어머니와 그 어머니와 꼭 닮은 손을 가진 나. 교원생활을 오래 하던 어머니는 아버지가 새 여자를 얻어 나가자 화투로 날을 지새웠고, 그런 어머니 곁에서 나는 된장찌개의 두루뭉수리한 맛만을 기억해야 했다.
오래 전부터 그리워하고 있던, 그리워하기만 했던 여자라는 성과 그 감정의 폭을 이제사 받아들이게 된 떨림, 운명이라고 느껴지는 이 느낌의 격류가 있기까지는 지난 시절의 이야기가 필요할 것이다.
서른둘의 나이, 여자로서 절정인 그 나이에 결혼생홀 6년을 마감하고 돌아온 나는 살림과 싸우기에도 힘겨웠던 결혼생활을 돌이켜본다. 홀시아버님이 돌아가시던 날 내리던 눈과 상복을 입고 버선발로 문상객들의 구두를 정리하다 문득 눈에 띈 더럽혀진 버선바닥을 보며 그 버선바닥처럼 더럽혀진 나의 인생을 생각한다. 장례가 끝나고 사우디에 파견된 남편을 구실로 완전히 친정으로 돌아오고 말았다.
시집가기 전 쓰던 물건들 속에서 어머니와 단둘이 차려 먹는 저녁 상, 그 고요에 안도하면서 나는 왠지 모를 갈증을 느낄 무렵 골목에서 그를 만난다. 그날을 시작으로 어느새 3년이 지나면서 누군가 저기 있다는 것만으로도 예전과 달라진 나를 발견한다.
6․25, 뒤늦은 피난길에 오른 어머니와 동생과 나에게 주먹밥을 싸주시며 집에 남아 계시던 할머니, 피난길에 무사히 돌아온 후 어느날, 어머니는 끊임없이 일만 하시던 할머니를 이모네 가서 살게 했다. 그러나 외삼촌이 살아 있다는 소식을 전하러 갔던 날이 마지막 만남이 되어 얼마 후 갑자기 쓰러지신 할머니는 며칠만에 돌아가시고 말았다. 할머니의 일을 들추며 몇 해를 두고 거듭된 어머니와 나의 싸움 끝에 결국 어머니는 쓰러지셨고, 이제 나는 어머니와의 화해를 생각한다. 그것은 그와의 결별을 의미한다. 어머니와 화해하고 함께 산다는 것이 그 옛날 어머니가 할머니를 감당하지 못해 이모네로 보냈던 심정처럼 나에게도 속박일지라도 그것은 또한 나의 운명이라고 생각한다. 

핵심정리
▶갈래 : 중편 소설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어조 : 고백적 서술의 여성적 어조
▶배경 : 겨울의 어느 날 밤
▶주제 : 삶에 대한 여성 특유의 인식과 순수 동경의 발견 / 여성으로서의 삶에 대한 인식과 순수한 열망(熱望)의 발견
▶특징
고백적 어조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

등장인물 
▶나(가혜) : 소설의 화자로 43세의 중년 여성, 이혼한 후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으며, 당신과의 만남을 계기로 삶의 여성적 인식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당신 : 나에게 삶의 긴장감을 촉발하고, 순진성과 욕망을 일깨우는 존재로 설정되어 있다
구성
할머니 무덤의 화재와 아저씨와의 통화

눈을 통한 과거의 회상

가족에 대한 추억

여성으로서의 삶에 대한 깨달음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유년 시절부터 이어 온 삶의 간절한 열망을 할머니, 어머니와 관련된 기억의 회상을 통해서 확인해가는 한 여성 화자의 자기 고백을 담고 있다. 나의 가슴 깊이 숨어 있는 비밀스런 고백을 통해 한 개인이 자신의 내적인 열망과 현실적 삶의 작용 ․ 반작용의 관계 속에서 여성으로서의 삶에 대한 인식에 이르는 과정을 진지하게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이 당신과의 만남을 계기로 할머니, 어머니, 그리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깨달은 여성으로서의 삶에 대한 인식은 따뜻한 밥상에 대한 기억과 기다림에 대한 소망으로 구체화된다. 주인공이 깨달은 이 따뜻한 밥상과 기다림의 소망은 당신이 말했던 나이 들어가는 여자의 떨림을 영상화하여 표현한 것이기도 하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21년 ebs수능특강
2017년 ebs수능특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