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수필 중 김진섭의 수필 백설부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수필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백설 덮인 세상 아름다움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진섭의 수필 백설부
김진섭의 수필 백설부 해석 해설
김진섭의 수필 백설부 해석 해설입니다.
김진섭의 수필, 백설부
김진섭(金晋燮)의 수필, 백설부(白雪賦) <조광(1939)>
낱말 및 어구 풀이
1) 설편(雪片) : 눈 조각.
2) 부지중(不知中) : 알지 못한 동안.
3) 강설(降雪) : 눈이 내림.
4) 구각(舊殼) : 낡은 껍질, 곧 옛습관.
5) 정(呈)하다 : 어떤 모양이나 빛깔 등을 드러낸다.
6) 삭연하다 : 쓸쓸하다.
7) 백설애애 : 서리나 눈이 흰 모양.
8) 정밀(靜謐) : 고요함과 편안함
9) 진좌(鎭座) : 자리잡아 앉음.
10) 해조(諧調) : ① 잘 조화됨, ② 즐거운 가락.
11) 심원(深園) : 깊은 꽃밭.
원시 시대의 풍속을 탈환한 상태를 정(呈)한다. : 원시 시대의 상태로 되돌아간 모습을 표현하였다. 여기서 탈환, 즉 다시 빼앗았다고 표현한 것은, 문명이 원시 상태를 더렵혔다고 보는 작자의 반문명 의식을 드러낸다.
인생의 무의미에 대해서 있었다 하더라도 : 작자가 인생의 의미를 끊임없이 축소시키는 것은, 그에 대비시켜서 눈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예찬하기 위함이다.
핵심정리
▶갈래 : 중수필, 서정적 수필
▶성격 : 예찬적, 낭만적, 관념적
▶제재 : 눈
▶주제 : 현실 세계의 비속함과 백설이 덮인 세상의 아름다움
▶의의 : 사고와 관념을 바탕으로 전문적 수필 세계를 보여 주는 작품
▶표현상의 특징
①대상의 주관적 파악으로 독창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②다양한 비유를 통해 대상을 제시하고 있다.
③독특한 만연체의 문장을 구사하고 있다.
④한문투의 문장과 어려운 한자어를 구사하여 장중한 맛을 나타내고 있다.
이해와 감상
호흡이 길고 문체가 웅장한 만연체 문장의 대표적인 글이다. 김진섭은 이양하와 함께 우리 수필문학의 위상을 한 단계 높여 놓은 이이다. <밤새 눈이 내렸다.>는 단순한 일상의 체험을 이토록 현란하고 다채롭게 관념화해놓은 것은 김진섭 특유의 문체의 힘이다. 그는 해외문학파의 한사람이었고, 표현주의 문학론으로 순수시를 옹호했으며 사색적이고 관념적인 경향의 글을 썼다. 이 백설부 또한 생활보다는 관념이 승한 글이다. 문장이 휘들어지고 뻗혀나가 나름의 운율을 확보한다. 김진섭의 긴 문장은 나열이나 중복 때문이기도 하고 복문으로 함의가 깊어지기 때문이기도 한데 그의 정교한 관찰과 깊은 사색을 담아내기에는 이런 만연체의 문장이 썩 잘 어울린다. 의미 이전에 왈츠와도 같은 문장의 흐름에 몸을 맡기는 것 자체도 즐겁다.
부(賦)란 운을 넣은 한시의 한 종류이니 그가 굳이 부란 제목을 붙인 것도 바로 그 한시의 운율을 염두에 둔 까닭인 것 같다. 감상을 중시하는 부(賦)의 성격을 빌어 혼자만의 개별적인 정서를 마음껏 노래하려한 의도도 보인다. 빼어나게 유장하고 사무치게 현란한 백설에 대한 찬단, 더 이상 다른 말로 바꿀 수가 없는 적확한 묘사들, 백설부 이후 우리 수필은 이 한편을 넘어설 백설예찬을 여태도 가지지 못했다.
<눈과 같이 온 넓고 힘세고 성스러운 나라 때문에 도회는 문득 얼마나 조용해지고 자그마해지고 정숙해지는 것인지 알 수 없는 것이지만>들에 보이는 열거법의 남용! 와?의 과장된 흥분이 도리어 유현한 격조를 느끼게 한다.
연구문제
1. 이 글의 전체적인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해 보라
▶일상의 체험을 관념적이고 사색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2. 작가가 눈에 대해 가장 예찬하고 있는 속성이 무엇일지 찾아보라
▶모든 것을 덮어 희고 아름답게 해주며, 이로 인해 신비감을 준다는 점
더 알아보기
눈오는 날의 정취를 다룬 작품들
김진섭(金晋燮)의 수필론
김진섭이 노래하는 눈 : 김진섭이 노래하는 눈은 어둡고 초라한 현실 너머에 있는 성스러운 세계를 우리에게 가져다 준다. 모든 것을 성화(聖化)시키면서 말할 수 없는 영원한 무언가를 느끼게 해 준다는 것이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철저히 주관적, 비현실적, 감상적(感傷的)이며, 활달한 이국 취향에서 느껴지듯 낭만적인 수필이다.
출제목록
2016 수능특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