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현대시 중 김종길의 시 성탄제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아버지의 사랑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종길의 시 성탄제
김종길의 시 성탄제 해석 해설
김종길의 시 성탄제 해석 해설 내용입니다.
김종길의 시, 성탄제
김종길의 시, 성탄제(<성탄제> 1969)
어두운 방 안에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하략합니다>
* 부비는 : 비비는의 사투리
* 어두운 방 : 바알간 숯불과 대조되는 이미지
* 바알간 숯불 : 열로 상기한 볼과 호응하는 색채 이미지
* 붉은 산수유 열매 : 아버지의 사랑을 환기시키는 시각적 이미지의 소재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회상적, 주지적, 문명 비판적
▶어조 :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독백적 어조
▶제재 : 성탄일의 추억
▶주제 : 순수한 사랑에 대한 그리움과 그 계승의 참뜻
▶특징 :
현재와 과거를 대비시켜 제시하고 있다.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의 시어를 사용하고 있다.
계절감을 환기하는 소재(눈)를 통해 서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감탄사를 활용하여 화자의 고조된 정서를 표출하고 있다.
연구문제
1. 이 시의 시상을 지배하는 소재를 찾아 쓰고, 그 상징 의미도 쓰라.
▶ (1) 산수유 열매(산수유 붉은 알알) (2) 아버지의 순수한 사랑
2. 이 시는 시간적으로 과거와 현재가 대조되고 있다. 과거와 현재를 연결시키는 매개체를 찾아 쓰라.
▶ 눈
3. 이 시에서 숯불, 성탄제는 각각 어떤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는가?
▶ (1) 숯불 : 따뜻하고 아늑한 분위기 (2) 성탄제 : 인류의 보편적 사랑과 성스러운 분위기
4. 화자가 어릴 적 체험과 관련하여 ㉠이라고 하며 성탄제를 연상하고 있는 근거와 시적 의미를 두 문장으로 설명해 보라.
▶ 고난을 무릅쓰고 산수유 열매를 구해다가 나를 새롭게 태어나게 하신 점에서 아버지는 나에게 구세주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구세주의 탄생일인 성탄제를 떠올리고 혈연적인 사랑을 인류에의 보편적 사랑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5. ㉡의 이유가 될 만한 시행을 찾아 쓰라.
▶ 옛 것이란 거의 찾아볼 길 없는
6. 이 시는 색감의 대조가 뚜렷한 표현들이 있다. 찾아본다면 ?
▶ 밤(검은색) : 바알간 숯불(붉은 색), ▶ 눈(흰색,차가움) : 붉은 산수유(붉은 색. 따뜻함. 뜨거움)
7. 이런 표현은 어떤 효과를 얻고 있는가 ?
▶밤, 눈이 주는 어둡고 차가운 이미지에 대해 바알간 숯불, 붉은 산수유는 따뜻하고 포근한 분위기와 아버지의 자식에 대한 사랑을 강조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이해와 감상
김종길 시의 뿌리를 이루는 것은 유가적(儒家的) 전통이다. 그의 시의 특성인 절제된 감정과 시어, 명징한 이미지와 고전적 품격 등은 모두 유가적 덕목을 이루는 요소들이다. 이 시에서 시적 화자가 보여 주고 있는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도 결국 그의 이런 근본에서 자라난 것임을 알 수 있다. 서른 살의 나이에 이른 화자는 눈을 매개로 하여, 어린 시절 병든 자신을 위해 눈 속을 헤쳐 산수유 열매를 따 오시던 아버지를 회상하고 있다. 따라서 그 아버지는 부모의 은덕을 효로 보답해야 한다는 효제(孝悌)의 원리를 절로 떠오르게 하는 아버지이며, 화자는 그런 아버지로 표상되는 애정 넘치는 생활상을 그리워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는 열 개의 연이 시간적 추이 과정에 따라 전개되고 있으며, 1~5연의 유년 시절의 체험과 6~10연의 어른이 된 화자의 체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면서도 4연과 6연은 그 시간적 전개에서 제외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시인이 산수유 열매와 눈을 대비시켜 시각적 이미지를 제시함으로써 어린 시절의 가장 인상적인 모습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고도의 시적 장치로 볼 수 있다.
어린 시절의 화자는 열병을 앓고 있었으며, 아버지가 눈을 헤치고 따 오신 / 붉은 산수유 열매와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을 통해 병을 치유할 수 있었다. 어른으로서의 화자는 이제 어린 시절에 앓던 열병이 아니라 열병을 앓던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고 있다. 어린 시절 화자의 가슴에 서려 있던 열병이 지금에 와서는 그리움이 대신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열병과 그리움이 대칭적 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아버지의 서느런 옷자락은 엄부자모(嚴父慈母)로 대변되는 유교적 전통을 압축적으로 보여 주는 한편, 차가운 옷자락만큼 아버지의 사랑이 깊고 뜨거움을 상징적으로 알려 주고 있다.
전반부의 시적 공간은 시골이며, 후반부의 공간은 도시이다. 시골의 방에는 바알간 숯불이 피어 있고, 밖에선 눈이 내리고 있다. 도시에도 역시 눈이 내리고 있지만, 방이 제시되지 않는 대신 내 혈액이라는 독특한 공간이 나타나 있다. 내 혈액과 숯불은 동일한 붉은빛으로 서로 상관 관계를 가지며 시의 깊이를 더해 줌은 물론, 이러한 공간 구조는 산수유 붉은 열매에 의해 내적 통일성을 얻게 된다.
이 시의 시간은 전․후반부 모두 성탄제 가까운 밤이다. 성탄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리는 축제이지만, 여기서는 성탄제의 그런 피상적 의미를 벗어나 화자와 아버지의 새로운 만남을 촉진시키고 조명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성탄제는 서구의 화려하고 시끌벅적한 축제로서의 의미가 아닌, 한국의 전통적․복고적 정서로 전이되어 인간의 보편적인 사랑의 정점을 보여 주는 한편, 그 분위기에 싸여 가족간의 사랑을 한 차원 상승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부자자효(父慈子孝)의 윤리관으로 대표되는 관습적인 차원을 뛰어넘어 한 차원 더 깊어진 애정의 경지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눈은 고요한 회상의 분위기와 함께 춥고 쓸쓸한 겨울 장면을 조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그 눈을 헤치고 아버지가 따오신 산수유 열매가 화자의 혈액 속에 녹아 흐른다는 것은 육친간의 순수하고도 근원적인 사랑이 늘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산수유 붉은 알알은 화자의 내부에 생명의 원소처럼 살아 있는 사랑의 상징이 됨으로써 거룩한 성탄제의 본질적 의미를 환기시켜 주는 것이다.<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더 알아보기
* 김종길의 <성탄제>와 정한모의 <가을에>와의 공통점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상황이 대비되고 있다.
유년기의 고통스러웠던 체험을 드러내고 있다.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시각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 연관지을 작품수필 허세욱의 <초승달이 질 때>
* 그리움을 바탕으로 한 작품들
출제목록
2021년 ebs수능특강
2010년 ebs수능특강
2010년 6월 3학년 모의수능
2010년 3월 1학년 전국연합
2005년 3월 1학년 전국연합
2002년 6월 1학년 전국연합
2002년 7월 2학년 전국연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