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승희의 시 엄마의 발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3. 5. 2.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김승희의 시 엄마의 발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여성에 대한 차별 억압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승희의 시 엄마의 발

김승희의 시 엄마의 발

 

 

 

김승희의 시, 엄마의 발

김승희의 시, 엄마의 발<“달걀 속의 생”(1989)>

딸아, 보아라,(대화체)
엄마의 발은 크지,
대지의 입구처럼
지붕 아래 대들보처럼
엄마의 발은 크지,(시구 반복→엄마로서의 삶의 무게 강조) ▶1연: 엄마의 큰 발

소재의 의미와 기능
큰 발 : 자식을 위해 노동을 하고 있는 엄마의 헌신적 사랑
기형의 발 : 엄마의 역할로 제한되느라 본래 자신의 모습을 잃어버린 괴로움
아파 우는 발 : 화자가 강요받았던 삶이 육체적으로 극심한 고통을 수반하는 힘겨운 것
앓는 발 : 평생을 고통 속에서 살아온 여성의 삶의 모습
갇힌 발 : 자유롭게 날지 못하고 여러 제약에 구속되는 삶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사회 비판적, 페미니즘적
▶제재 : 엄마의 발
▶주제 : 여성에 대한 차별과 억압, 강요되는 모성에 대한 비애 
▶특징
① 엄마가 딸에게 말을 건네는 듯한 어투로 나타냄.
② 여성이 겪는 삶의 고통과 아픔을, 신발 속의 보이지 않는 발에 빗대어 나타냄.
③ 동일한 시구를 반복하여 의미를 강조하고 리듬감을 줌.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엄마의 발을 소재로 여성에 대한 사회의 부당한 차별과 억압을 고발하고 있다. 엄마가 딸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으며, 여성이 겪는 고통스러운 삶과 많은 것들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엄마라는 역할의 굴레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을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추가>
이 시는 딸에게만큼은 여성으로서의 고통스러운 삶을 대물림하고 싶지 않은 화자가 자신의 바람을 딸에게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자의 삶이 고통스러웠던 이유는,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자신의 꿈과 이상을 포기한 채 여성으로서의 희생된 삶을 강요받았기 때문이다. 화자는 여성으로 살아오면서 느낀 고통과 슬픔을 뭉그러진 전족의 기형의 발에 빗대어 드러낸다. 한 인간으로서 화자가 가졌던 꿈과 이상은 가고 싶었던 길, 가 보지 못했던 길, 잊을 수 없는 길이 되어 밤마다 꿈속에서 선명하게 나타나지만, 그럴 때마다 그 꿈들을 다림질로 꾹꾹 눌러 버려야 하는 화자는 자아 정체성과 모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괴로워한다. 이처럼 이 시는 남성 중심 사회에서 꿈과 이상을 포기하고 가족에게 희생하며 살 수밖에 없는 여성으로서의 슬픔을 엄마의 발이라는 소재를 통해 그려 내고 있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18년 ebs수능특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