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정보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김승희의 시 배꼽을 위한 연가5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주체적인 태도의 필요성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승희의 시 배꼽을 위한 연가5
김승희의 시 배꼽을 위한 연가5 해석 해설
김승희의 시 배꼽을 위한 연가5 해석 해설입니다.
김승희의 시, 배꼽을 위한 연가5
김승희의 시, 배꼽을 위한 연가5
인당수(관습에 따른 제의의 공간, 희생의 공간)에 빠질 수는 없습니다.
어머니,(청자 :기존의 틀, 세상의 어머니)
저는 살아서 시를 짓겠습니다. 의지적 어조(희생적 삶 거부)
시어의 상징적 의미
*인당수 : 부모님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공간
*공양미 삼백 석 : 자신의 희생으로 얻게 될 이익
*나비, 새 : 성숙한 존재
*누에고치 : 자신이 거쳐 온 길, 자신의 과거, 부모
*애벌레, 알 : 미숙한 상태
핵심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의지적, 비유적
▶제재 : 민들레꽃
▶주제 : 주체적 삶에 대한 의지
▶특징 :
고전소설을 차용해서 이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
단호한 어조로 화자의 의지를 피력
반복과 비유를 통해 화자의 신념과 주제의식을 드러냄
심청전에 담긴 효의 가치관을 비판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에 대한 교훈을 전함
어머니에게 말을 건네는 형식
선어말어미 겠을 반복적으로 사용해 화자의 의지를 강조함.
비슷한 구조의 문장을 반복해 자신의 삶을 이룩하는 것의 당위성을 드러냄.
삶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주체적인 태도의 필요성을 강조함.
구성 :
12연: 부모를 위한 희생을 거부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고자 함.
3연: 자신의 삶을 이룩하기 위해 부모의 지배적 힘에서 벗어나는 것은 정당하다고 여김.
4연: 부모로부터 벗어나는 자식으로서 약자인 부모에게 해 줄 수 있는 배려를 제시함.
5연: 각자 배워야 살아갈 수 있는 세상에 대한 인식과 주체적인 삶의 태도를 가질 것을 강조함.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심청전을 재구성한 시로, 부모를 위해 희생하는 소설 속의 심청을 비판하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인당수, 공양미 삼백석이라는 시어를 통해 심청전을 소재로 했음을 알 수 있으며, 어머니에게 말을 건네는 어투를 사용하여 삶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려는 주체적인 태도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더 알아보기
출제목록
2020년 ebs수능특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