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명인의 시 너와집 한채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4. 5. 3.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김명인의 시 너와집 한채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안식과 평화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명인의 시 너와집 한채

김명인의 시 너와집 한채

 

 

김명인의 시 너와집 한채 해석 해설

김명인의 시 너와집 한채 해석 해설입니다. 

 

김명인의 시, 너와집 한채

길이 있다면, 어디 두천쯤에나 가서
버려진 너와집 한 채에들어 앉겠네.

화전터도 아니라, 사람의 흔적조차도 없이
그저 텅 빈 너와집에 들어앉아 있겠네.

집이 없는 사람 거기서도 눈물 잣겠네.
세월의 허무함을 저주하며 흐느끼겠지만,

골짜기 가득 구름 연기 첩첩 채워 넣어
사무친 세간의 슬픔, 저버리지 못한 세월마저
허물어 뜨러뜨리고 말겠네.

그리고 따라오는 등뒤의 오솔길도 지워 버리고
돌아서지 않겠네.

이해 및 감상

이 시는 세상의 번뇌와 고통에서 벗어나 평화와 안식을 찾고자 하는 화자의 마음을 담고 있다. 화자는 '너와집 한 채'라는 상상의 공간을 통해 현실의 세계를 초월하여 영원한 행복을 추구한다.

시의 첫 연에서 화자는 '두천쯤'이나 먼 곳에 있는 버려진 집을 찾아가 거기에 거처하고자 한다. 이 '두천쯤'은 현실 세계와는 かけ떨어진,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초월적인 세계를 상징한다. 버려진 집은 세속적인 삶의 흔적이 없는, 평화와 고요로움이 깃든 곳이다.

두 번째 연에서 화자는 그 집에 들어앉아 세월의 허무함과 고통을 흐느끼며 눈물을 흘린다. 그러나 화자는 그 슬픔에 굴복하지 않고, '구름 연기 첩첩 채워 넣어' 현실 세계의 모든 번뇌를 씻어낸다.

세 번째 연에서 화자는 자신을 쫓아오는 세속적인 삶의 유혹을 '오솔길'로 비유하여, 그것을 '지워 버리고' 결코 현실 세계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한다.

요약

'너와집 한 채'는 현실 세계의 고통과 번뇌에서 벗어나 영원한 평화와 안식을 추구하는 화자의 마음을 담고 있다. 화자는 '두천쯤' 먼 곳에 있는 '버려진 너와집'을 상상의 공간으로 삼아 그곳에서 세속적인 삶의 모든 유혹을 끊고 초월적인 행복을 찾고자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