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4. 5. 1.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소설 중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소설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인간고뇌 종교적승화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 해석 해설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 해석 해설입니다.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

태평양 전쟁에 학병으로 끌려간 주인공 나의 불교 귀의를 둘러싼 이야기

김동리의 소설 '등신불'은 태평양 전쟁 중에 학병으로 끌려간 주인공 나가 남경에서 탈출하여 불교에 귀의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작품의 중심은 나가 정원사라는 절에서 만난 등신불과 그에 얽힌 만적(萬寂)이라는 스님의 불교 설화에 있다.

줄거리

학병으로 끌려간 나가 진기수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정원사에 몸을 의탁한다. 화려한 금불각에 반감을 느끼던 나였지만, 등신불을 본 순간 충격과 전율을 느낀다. 그 불상은 인간적인 비원을 담고 있었고, 옛날 소신공양(燒身供養)으로 성불한 만적의 굳어진 몸에 금을 씌운 것이었다.

나의 문의에 원혜대사는 만적의 불교 설화를 전한다. 당나라 시대 만적은 자기를 위하여 이복형제를 독살하려는 어머니로 인해 집을 나와 불가에 몸을 맡긴다. 10년 후, 이복형제가 문둥병에 시달리고 있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은 만적은 인간사의 번뇌를 소신공양으로 극복하기로 결심한다.

만적의 소신공양에는 수많은 이적이 일어났고, 그 이후 사람들이 쏟은 새전으로 만적의 굳어진 몸에 금을 씌워 금불각을 지었다. 나의 손가락에 상처가 있는 것을 본 원혜대사는 그 손가락과 만적의 소신공양의 관계를 암시한다.

주제와 구조

'등신불'의 주제는 인간 고뇌의 종교적 구원이다. 작품은 액자소설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의 이야기와 과거의 불교 설화가 중첩된다. 등신불은 절대자와 인간 사이의 중재자로, 인간의 죄악과 번뇌를 구원한다.

등장인물

 나: 주인공. 태평양 전쟁 당시 학병으로 끌려갔다가 탈출하여 불교에 귀의한다.
 진기수: 나의 선배. 중국의 불교 학자로, 나의 탈출을 도와준다.
 원혜대사: 정원사의 주지승. 나를 거두어 주고 불도에 인도한다.
 만적: 법명은 만적, 속명은 기. 당나라 때 금릉에서 태어났고, 소신공양으로 성불하여 정원사 금불각에 모셔진 스님.

핵심문제

1. 이 글의 성격을 잘못 말한 것은?
①암시와 비약의 방법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②과거와 현재가 서로 중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③극적 진술과 요약적 진술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건의 흐름을 간명하게 나타냈다.
④서술자의 주관을 배제한 객관적인 서술 태도가 돋보인다. ∨
⑤근원적인 문제의 해결보다는 오히려 인간 실존의 규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핵심문제 답변: ④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