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김경린의 시 국제열차는 타자기 처럼 인 시집 현대의 온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0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김경린의 시 국제열차는 타자기 처럼 인 시집 현대의 온
김경린의 시 국제열차는 타자기 처럼 인 시집 현대의 온 해석 해설
김경린의 시 국제열차는 타자기 처럼 인 시집 현대의 온 해석 해설입니다.
김경린의 시 "국제열차는 타자기처럼" (시집 <현대의 온도>, 1957)
오늘도 성난 타자기처럼
질주하는 국제열차에
저작권 보호를 위해 생략합니다.
이해와 감상
김경린은 1949년 박인환, 김수영, 임호권, 양병식과 함께 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을 발표하여 후기 모더니즘 운동을 선도한 시인이다. 그는 이미 일본에서 모더니즘 동인지 《바우(VOU)》에 동인으로 참여하였고, 귀국 후 조선일보에 〈차창〉 등을 발표하여 김기림의 직계 제자로 평가받기도 했다. 그는 전통적인 서정 세계를 표방한 청록파에 반발하여 1950년대 후반에 동인회를 결성하여 도시적 감수성, 현대 의식, 전위적 기법 추구 등을 통해 전쟁 후의 혼란을 노래하며 새로운 시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1960년대 말 작품 활동을 중단했다가 1980년대부터 다시 시작한 그는 한국적인 전통에서 세계적인 전통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며 열정적으로 창작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 시는 김경린이 [모더니즘 선언서]에서 밝힌 모더니즘의 세계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국제 사회 속에서 겪는 지식인 화자의 절망과 좌절을 현대 문명의 상징인 타자기로 포착하여 현대인의 정신적 풍토를 그린다. 발표 당시 "국제열차 타자기 같은" 시어는 매우 생경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시인은 이러한 광물성 이미지의 시어를 통해 현대 도시 문명의 메커니즘을 드러낸다.
화자는 마치 성난 타자기처럼 규칙적으로 움직이고 질주하는 국제열차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국제 사회에 동참하지 못하고, 조상이 남긴 전통적 사회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우수와 병리를 진단한다. 여기에는 전쟁의 비극적 경험과 상처로 인한 삶의 의미에 대한 회의, 가치의 전도와 혼란, 도시화로 인한 비인간화 심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혼란스러워하는 젊은 지식인들의 불안과 공포, 전통 문화의 파괴를 무심히 지켜볼 수밖에 없는 고통이다. 그러나 그는 현재 빠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불안과 고통을 겪고 있지만, 언젠가 세계적 기류에 편승하여 투명한 아침을 맞이하리라는 희망을 보인다.<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 이해와 감상]>
더 알아보기
출제 목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