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상의 시 초토의 시 해석 해설

by bloggerkim2 2024. 7. 18.
반응형

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구상의 시 초토의 시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분단 통일 염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구상의 시 초토의 시

구상의 시 초토의 시

 

 

구상의 시 초토의 시 해석 해설

구상의 시 초토의 시 해석 해설입니다. 

 

초토(焦土)의 시 8

적군 묘지 앞에서

아아, 여기 줄지어 누운 영혼들은
전쟁의 잔인함에 짓밟혔네.

북쪽 하늘을 향한 얼굴들,
고향에 돌아가지 못한 넋.

젊은 꿈과 희망을 안고
전쟁터로 떠났을 그들,

이제는 찬흙 속에 묻혀
고요히 잠들었네.

적과 아군이란 구별 없이
모두가 인간이었음을 잊지 말자.

그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평화와 통일을 위해 노력하리라.

분단의 상처를 아물고
한 민족으로 다시 태어나리라.

적군 병사여, 너희의 넋이
평안히 잠들기를 빈다.

그리고 언젠가는
우리 모두가 함께 살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핵심 정리

 장르: 자유시, 서정시, 전후시
 성격: 관념적, 종교적, 인도적
 어조: 비분과 통한의 어조
 제재: 적군 묘지에서 느끼는 비분
 주제: 적군 묘지에서 느끼는 분단 현실에 대한 통한과 통일에의 염원
 특징:
     기독교 윤리관에 바탕을 두고 평범한 시어를 사용함.
     시적 기교보다는 사상(민족애, 평화, 용서 등)을 중요시함.
     적군과 화자의 슬픔을 동일시하여 표현함
     평이한 시어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직설적으로 드러냄
     금속성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현실의 문제를 환기하고 있음.

구성

 적군 병사에 대한 애도(1~3연)
 분단의 비극(4~5연)
 통일에의 염원(6~7연)

핵심 질문

 3연에서 나타난 시어 "사랑"과 "미움"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랑"은 민족애나 크리스트교적 윤리에 의한 화해와 용서의 의미를 지니고, "미움"은 이념적 대립에 의한 갈등으로 말미암아 동족의 가슴에 서로 총부리를 겨누는 비극의 원인을 뜻함.

이해와 감상

이 시는 6.25 전쟁의 체험을 노래한 연작시 <초토의 시> 15편 중 여덟 번째 작품으로, 직설적인 어투의 무기교의 시라는데 그 형식적 특징이 있음. 시인은 동족 상잔의 비극으로 생겨난 적군 묘지 앞에서 이데올로기라는 허상 속에 감추어진 인간의 권력욕으로 인한 그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한편, 기독교적 윤리관에 바탕을 둔 사랑과 화해의 정신으로 민족 동질성의 회복과 평화 통일에 대해 염원하고 있음.

생존의 극한 상황인 전쟁 중에는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싸우던 원수 사이였지만, 가로막힌 휴전선으로 인해 넋마저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그들은 이미 저주와 원한의 적이 아니라, 같은 민족이요, 형제일 뿐임. 고향을 북에 둔 시인은 분단의 상징물인 휴전선을 바라보면서 민족의 고통을 절감하며, 적군 병사들의 풀지 못한 원한을 그들만의 것이 아닌 자신의 것으로 동일시하는 일체감을 보여 주게 됨. 그것은 다름아닌 분단으로 인해 돌아가지 못하는 그들의 죽음을 뜻하며, 그들의 죽음이 헛되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통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인의 뜨거운 열망을 반영하고 있음.

<김태형, 정희성 엮음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문원각>

감상 추가

이 시는 시인이 6.25 때의 종군을 체험으로 하여 쓴 연작시 [초토의 시] 15편 중 8번째의 시로서, 6.25라는 동족 상잔의 비극적 전쟁으로 생긴 적군 묘지 앞에서 그들의 죽음에 대한 애도와 통일에의 염원을 노래한 작품임.

적에 대한 적대 의식이나 증오보다는 동포애와 인간애로부터 우러나오는 관용과 연민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 생사를 가름하는 극한 상황 속에서는 서로 총부리를 겨누던 사이였지만, 이제 한 발짝 물러서서 보면 원한과 저주가 아니라, 분단의 갈등 속에 찢겨진 동족으로서 연민의 정이 느껴질 뿐임.

인간의 생명은 무엇보다도 존엄한 것이기에 적군의 시체를 양지 바른 곳에 묻는, 인도주의에 바탕을 둔 인간애가 이 작품의 골격을 이루고 있음. 특히, 적군 묘지에 묻힌 그들과 마찬가지로 북쪽 땅이 고향인 시인은 삼십 리 저편에 가로막혀 있는 휴전선을 바라보면서 민족 분단의 고통을 누구보다 절감했을 것임.

비극의 현실을 고발하면서 저주나 원한 같은 수준에서 끝나지 않고, 민족의 고난을 자기의 것으로 받아들여 참회하고, 죽은 병사의 풀지 못한 원한이 시인의 희망으로 나타나 진정한 화해와 통일을 염원하고 있다. 이 시는 수사법이나 기교에는 관심이 없음. 그러면서도 관념적으로 끝나지 않는 것은 소재가 그만큼 현실적이기 때문임.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 이해와 감상]>

더 알아보기

 관련지어 살펴 볼 작품
     신동엽의 <봄은>
     박봉우의 <휴전선>

 출제 목록
     2020년 ebs 수능 특강
         95년 전남대 시적 화자의 태도(→연민)와 작품에 형상화된 시인의 사상(→인도주의)을 묻는 문제가 출제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