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학쿨러입니다.
오늘은 현대시 중 구상의 시 초토의 시 작품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시의 작품의 주제 내용은 분단 통일 염원 입니다. 그럼 상세한 내용은 밑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까요?
구상의 시 초토의 시
구상의 시 초토의 시 해석 해설
구상의 시 초토의 시 해석 해설입니다.
구상 시의 초토 시 8
붉은 군대 묘지 앞에서
오호, 저기 줄지어 누운 넋들은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하단 생략합니다.>
焦土(초토): 불에 타서 검게 된 흙. 여기에서는 무덤, 황폐된 전쟁터를 의미합니다.
無主空山(무주공산): 인가와 인기척이 전혀 없는 쓸쓸한 산. 여기서는 적군 병사가 묻혀 있는 곳을 말합니다.
恩怨(은원): 은혜와 원망
핵심 정리
▶ 갈래: 자유시, 서정시, 전후시
▶ 성격: 관념적, 종교적, 인도적
▶ 어조: 비분과 통한의 어조
▶ 제재: 적군 묘지에서 느끼는 비분
▶ 주제: 적군 묘지에서 느끼는 분단 현실에 대한 통한과 통일에 대한 염원
▶ 특징:
- 기독교 윤리관을 기반으로 하고 평범한 시어를 사용합니다.
- 시적 기교보다는 사상(민족애, 평화, 용서 등)을 중시합니다.
- 적군과 화자의 슬픔을 동일시하여 표현합니다.
- 평이한 시어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직설적으로 드러냅니다.
- 금속성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현실의 문제를 환기하고 있습니다.
구성
적군 병사에 대한 애도(13연)
분단의 비극(45연)
통일에 대한 염원(67연)
핵심 요점
3연에서 나타난 시어 사랑과 미움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 사랑은 민족애나 기독교적 윤리에 의한 화해와 용서의 의미를 지니고, 미움은 이념적 대립에 의한 갈등으로 말미암아 동족의 가슴에 서로 총부리를 겨누는 비극의 원인을 의미합니다.
이해와 감상
이 시는 6.25의 체험을 노래한 <초토의 시>라는 연작시 15편 중 여덟 번째 작품으로 직설적인 언어의 무기교의 시라는 점에서 형식적 특징이 있습니다. 시인은 동족 상잔의 비극으로 인해 생겨난 적군 묘지 앞에서 이데올로기에 의해 감춰진 인간의 권력욕으로 인한 병사들의 죽음을 애도하면서, 기독교적 윤리관에 바탕을 둔 사랑과 화해의 정신으로 민족 동질성의 회복과 평화 통일을 염원하고 있습니다.
생존의 극한 상황인 전쟁 중에는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싸우던 적이었지만, 가로막힌 휴전선 때문에 넋마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그들은 이미 저주와 원한의 적이 아니라 같은 겨레, 형제일 뿐입니다. 고향을 북에 둔 시인은 분단의 상징인 휴전선을 바라보며 민족의 고통을 절감하고 적군 병사들의 풀지 못한 원한을 그들만의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것으로 동일시하는 일체감을 보입니다. 이는 분단으로 인해 돌아가지 못하는 그들의 죽음을 의미하며, 그들의 죽음이 헛되이 하지 않도록 하루빨리 통일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인의 뜨거운 열망을 반영합니다. <김태형, 정희성 편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 문원각>
<추가 감상>
이 시는 시인이 6.25 당시 종군한 경험을 바탕으로 쓴 연작시 <초토의 시> 15편 중 8번째 작품으로, 동족 상잔의 비극적 전쟁으로 생긴 적군 묘지 앞에서 그들의 죽음에 대한 애도와 통일에 대한 염원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적에 대한 적대 의식이나 증오보다는 동포애와 인간애에 바탕을 둔 관용과 연민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생사를 가름하는 극한 상황에서는 서로 총부리를 겨누던 사이였지만, 이제 한 발짝 물러서 보면 원한과 저주가 아니라 분단의 갈등 속에 찢겨진 동족으로서 연민의 정이 느껴질 뿐입니다.
인간의 생명은 무엇보다도 존엄한 것이기 때문에 적군의 시신을 양지 바른 곳에 묻는, 인도주의에 바탕을 둔 인간애가 이 작품의 골격을 이룹니다. 특히 적군 묘지에 묻힌 그들과 마찬가지로 북쪽 땅이 고향인 시인은 삼십 리 저편에 가로막혀 있는 휴전선을 바라보며 민족 분단의 고통을 누구보다 절감했을 것입니다.
비극의 현실을 고발하면서 저주나 원한 같은 수준에서 끝나지 않고, 민족의 고난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여 참회하고, 죽은 병사의 풀지 못한 원한이 시인의 희망으로 나타나 진정한 화해와 통일을 염원합니다. 이 시는 수사법이나 기교에 관심이 없습니다. 그러면서도 관념적으로 끝나지 않는 것은 소재가 그만큼 현실적이기 때문입니다.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 현대시 400선 이해와 감상]>
더 알아보기
관련 지어 살펴볼 작품들
신동엽의 <봄은>, 박봉우의 <휴전선>
출제 목록
2020년 ebs 수능 특강
95년 전남대 시적 화자의 태도(→연민)와 작품에 형상화된 시인의 사상(→인도주의)을 묻는 문제가 출제됨
댓글